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팔꿈치 불안정성

     

    팔꿈치에 통증이 생기면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지만, ‘테니스 엘보’라고 불리는 외측 상과염은 심할 경우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으며, 시간이 지나면 팔꿈치의 불안정성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    최근 연구에 따르면, 팔꿈치의 인대가 느슨해지고 기능을 상실한 경우, 단순히 봉합하는 것보다 인대를 새로 만들어주는 '재건술'이 치료 효과가 더 뛰어난 것으로 나타났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테니스 엘보는 무엇인가요?


    ‘테니스엘보’는 테니스를 치지 않더라도 발생할 수 있습니다. 팔꿈치 바깥쪽에 위치한 근육과 힘줄이 반복적인 사용으로 인해 손상되면서 생기는 질환으로, 특히 다음과 같은 활동을 자주 하는 사람들에게 잘 나타납니다:

     

    • 컴퓨터 마우스의 반복 사용
    •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일
    • 반복적인 손목 사용(예: 육아, 요리, 청소 등)
    • 실제 테니스, 골프, 헬스 운동


    초기에는 팔꿈치 바깥쪽에 찌릿하거나 당기는 통증이 느껴지며, 증상이 진행되면 컵을 드는 동작조차 힘들어질 정도로 악화될 수 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팔꿈치 불안정성이란 무엇인가 필요?


    통증이 오래 지속되고 염증이 반복되면, 팔꿈치를 지탱하는 측부 인대가 약해져 관절의 불안정성이 발생할 수 있습니다. 이 상태에서는 통증뿐만 아니라 팔을 움직일 때 불편감, 소리, 꺾이는 느낌이 동반되어 치료가 훨씬 복잡해집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봉합술 vs 재건술 – 어떤 방법이 더 효과적일까?


    최근 삼성서울병원 연구팀은 팔꿈치 불안정성을 동반한 환자 50명을 분석한 결과, 다음과 같은 결론을 도출하였습니다:

    • 단순 봉합술(인대를 꿰매는 수술)을 받은 환자보다
    • 재건술(인대를 새로 만들어주는 수술)을 받은 환자는

    👉 수술 후 기능 회복과 통증 개선 정도가 더욱 우수했습니다.


    특히 팔을 자주 사용하는 운동선수의 경우 재건술의 효과가 더욱 두드러졌습니다.

    재건술은 정상 인대와 유사한 튼튼한 구조를 재현해 주기 때문에 재발률이 낮고, 회복 후 만족도도 높았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어떤 경우에 수술을 고려해야 할까요?


    테니스 엘보는 대부분 물리치료, 약물치료, 체외충격파 치료 등 보존적 방법으로 호전됩니다. 그러나 다음과 같은 경우에는 수술적 치료를 고려해야 합니다.

    •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
    • 팔꿈치 불안정 증상(꺾임, 흔들림 등)이 나타날 경우
    •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불편함이 지속되는 경우
    • 직업적으로 팔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(예: 운동선수, 요리사 등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마무리 – 조기 치료의 중요성


    테니스 엘보는 초기 단계에서 적절한 관리가 이루어지면 대부분 비수술적으로 회복될 수 있습니다. 그러나 방치할 경우 팔꿈치의 불안정성이 증가하여 회복이 지연되고 치료가 어려워질 수 있습니다. 따라서 증상이 오래 지속된다면 정확한 진단과 치료 계획이 필요합니다.

    통증을 참는 것은 치료가 아닙니다. 

    특히 반복적으로 팔을 사용하는 직업을 가진 경우, 정밀 검사를 받는 것이 더욱 중요합니다.

    🦴 팔꿈치에 찌릿한 통증과 약해진 느낌이 드시나요? 

    단순한 염증이 아닐 수도 있습니다. 인대 손상과 불안정성이 동반된 테니스 엘보일 수 있습니다. 조기 진단과 전문적인 치료를 통해 건강한 움직임을 되찾아보세요.

    반응형